문제 설명
로봇개발자 무지는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카카오배 로봇경진대회에 출품할 로봇을 준비하고 있습니다. 준비 중인 로봇은 2 x 1
크기의 로봇으로 무지는 0과 1로 이루어진 N x N
크기의 지도에서 2 x 1
크기인 로봇을 움직여 (N, N) 위치까지 이동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을 하려고 합니다. 로봇이 이동하는 지도는 가장 왼쪽, 상단의 좌표를 (1, 1)로 하며 지도 내에 표시된 숫자 0은 빈칸을 1은 벽을 나타냅니다. 로봇은 벽이 있는 칸 또는 지도 밖으로는 이동할 수 없습니다. 로봇은 처음에 아래 그림과 같이 좌표 (1, 1) 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놓여있는 상태로 시작하며, 앞뒤 구분없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.
로봇이 움직일 때는 현재 놓여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합니다. 예를 들어, 위 그림에서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한다면 (1, 2), (1, 3) 두 칸을 차지하게 되며, 아래로 이동한다면 (2, 1), (2, 2) 두 칸을 차지하게 됩니다. 로봇이 차지하는 두 칸 중 어느 한 칸이라도 (N, N) 위치에 도착하면 됩니다.
로봇은 다음과 같이 조건에 따라 회전이 가능합니다.
위 그림과 같이 로봇은 90도씩 회전할 수 있습니다. 단, 로봇이 차지하는 두 칸 중, 어느 칸이든 축이 될 수 있지만, 회전하는 방향(축이 되는 칸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있는 칸)에는 벽이 없어야 합니다. 로봇이 한 칸 이동하거나 90도 회전하는 데는 걸리는 시간은 정확히 1초 입니다.
0과 1로 이루어진 지도인 board가 주어질 때, 로봇이 (N, N)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최소 시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board의 한 변의 길이는 5 이상 100 이하입니다.
- board의 원소는 0 또는 1입니다.
- 로봇이 처음에 놓여 있는 칸 (1, 1), (1, 2)는 항상 0으로 주어집니다.
- 로봇이 항상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입출력 예
board | result |
---|---|
[[0, 0, 0, 1, 1],[0, 0, 0, 1, 0],[0, 1, 0, 1, 1],[1, 1, 0, 0, 1],[0, 0, 0, 0, 0]] | 7 |
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
문제에 주어진 예시와 같습니다. 로봇이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후, (1, 3) 칸을 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합니다. 다시, 아래쪽으로 3칸 이동하면 로봇은 (4, 3), (5, 3) 두 칸을 차지하게 됩니다. 이제 (5, 3)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후,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하면 (N, N)에 도착합니다. 따라서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최소 7초가 걸립니다.
풀이
이 문제는 2020 카카오 코딩테스트
에서 순수 구현시간이 가장 오래걸리는 문제이다. 그렇기 때문에 처음 풀 때 정확하고 꼼꼼하게 풀어야 한다. 그렇지 않으면 디버깅에 막대한 시간을 뺏길 수 밖에 없다.
이 문제가 단순한 BFS
문제보다 까다로운 이유는 바로 로봇이 2칸을 차지한다는 점과 로봇의 회전 때문이다. 이 2가지를 고려하여 얼마나 직관적이고 깔끔하게 구현하냐에 따라 문제풀이 시간이 달라진다.
필자는 우선 로봇 구조체를 선언하고 로봇이 차지하는 2칸의 좌표를 4개의 변수로 표현하였다. 그리고 구조체 안에 다음과 같은 함수들을 구현했다.
- 방향 D에 대한 평행이동
- 방향 D에 대한 회전
- 로봇의 유효성 검사(범위검사 및 벽 검사)
- 도착 여부 검사
이외에 이 구조체를 map
의 key
로 사용하고 상태에 대한 중복 검사를 하기 위해 비교연산자에 대한 오버라이딩
을 하였다.
이처럼 구현의 핵심적인 부분들을 미리 구조체
안에 구현해두면 BFS
함수 부분이 쓸데없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직관적인 코드를 작성해 실수를 줄일 수 있다.
다음은 로봇의 회전 이다. 이는 모든 경우에 대하여 하나하나 일일이 구현할 경우 코드가 굉장히 지저분해지므로 실수가 발생하고 추후 디버깅에 애를 먹을 수 있다. 여기서 로봇의 회전에 대하여 약간의 고찰을 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.
로봇이 방향 D로 평행이동이 가능할 경우 방향 D에 대한 2가지 회전 모두 가능하다.
즉 로봇의 상태가 수직이건 수평이건 관계 없이 모두 위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회전 가능한 상태를 얻어낼 수 있다. 이 때 로봇의 평행이동과 유효성 검사를 구조체
에서 이미 구현해두었으므로 로봇의 회전 가능 범위도 아주 간결한 코드로 얻어낼 수 있다.
전체 코드
1 |
|
- Post link: https://blog.yjyoon.dev/kakao/2021/01/14/kakao-moveblock/
- Copyright Notice: All articles in this blog are licensed under CC BY-NC-SA 3.0 unless stating additionally.